연사

주요 연사
윤송이
엔씨소프트 최고전략책임자(CSO) / 사장
  • <가장 인간적인 미래> 저자
  • 1996년 카이스트 전기 및 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2000년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 대학원에서 컴퓨터 신경과학 뇌인지과학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2020년 미국 산타클라라대학 로스쿨을 졸업했다.
  • 맥킨지앤컴퍼니와 SK텔레콤 등을 거쳤고, 2008년 엔씨소프트 부사장으로 합류한 이후 현재 엔씨소프트 최고전략책임자 겸 엔씨웨스트 홀딩스 대표, 엔씨문화재단 이사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또한, 엔씨소프트 AI 센터와 NLP(Natural Language Processing, 자연어처리) 센터 등 두 곳의 인공지능 연구개발 센터 설립을 주도하여 AI와 머신러닝에 관련된 다양한 연구개발 성과를 기업 경영에 접목하였다.
  • <월 스트리트 저널>의 '주목할 만한 세계 여성 기업인 50인(2004), 세계경제포럼이 선정한 '차세대 지도자'(2006), 보아오 포럼이 선정한 '21세기 젊은 지도자'(2007)에 이름을 올렸다. 에릭 슈미트(전 구글 회장), 제리 양(야후 공동 창업자), 콘돌리자 라이스(미국 제66대 국무장관) 등과 함께 스탠퍼드 인간중심인공지능연구소의 자문위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2019년에는 '한/스웨덴 비즈니스 서밋' 외교 행사에서 한국 대표 연사로 나서 인공지능 기술의 중요성을 알리는 민간 외교관 역할을 하기도 했다. 2022년 3월에는 이화여자대학교 AI융합 학부 인공지능전공 명예석좌교수로 임용되었다.
제임스 랜데이
미국 스탠퍼드대 인간중심 인공지능 연구소(HAI) 공동 설립자 / 부소장
  • World Lab 설립자, 공동 디렉터
  • James Landay is a Professor of Computer Science and the Anand Rajaraman and Venky Harinarayan Professor in the School of Engineering at Stanford University. He specializes in human-computer interaction, design, and ubiquitous computing. He co-founded and is Vice Director of the Stanford Institute for Human-Centered Artificial Intelligence (HAI). Landay previously was a tenured faculty member at Cornell Tech, the University of Washington, and UC Berkeley. He was also Director of Intel Labs Seattle and co-founder of NetRaker. Landay received his BS in EECS from UC Berkeley, and MS and PhD in Computer Science from Carnegie Mellon University. He is a member of the ACM SIGCHI Academy and an ACM Fellow. He served on the NSF CISE Advisory Committee for six years.
프랭크 패스콸리
미국 브루클린대 로스쿨 교수
  • [2019~2021] 생명 및 국가통계(Vital and Health Statistics)
    미국 국가 위원회- 개인정보·기밀성 및 보안 소위원회 위원장
  • <New Laws of Robotics> (2020) 저자
  • <The Black Box Society> (2015) 저자
  • Frank Pasquale is an expert on the law of AI, algorithms, and machine learning. He is Jeffrey D. Forchelli Professor of Law at Brooklyn Law School, an Affiliate Fellow at Yale University's Information Society Project, and a member of the American Law Institute. He is co-editor-in-chief of the Journal of Cross-Disciplinary Research in Computational Law (CRCL), based in the Netherlands, and a member of an Australian Research Council (ARC) Centre of Excellence on Automated Decision-Making & Society (ADM+S). His book The Black Box Society: The Secret Algorithms That Control Money and Informa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2015) has been recognized as an important study on the law and political economy of information. It was translated into Korean in 2016. His New Laws of Robotics: Defending Human Expertise in the Age of AI (Harvard University Press 2020) rethinks the political economy of automation, to promote human capacities as the irreplaceable center of an inclusive economy. It is under contract to be translated into Korean. Pasquale has published numerous articles on law & technology, and has shared his expertise in many government advisory roles.
전치형
카이스트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
  • Associate Professor
  • Graduate School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전치형은 카이스트 과학기술정책대학원의 부교수입니다. 그는 2010년에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에서 과학기술학(STS) 박사학위를 취득했습니다. 과학기술정책대학원에 합류하기 전에는 독일 베를린에 있는 막스 플랑크 과학사 연구소에서 한 해를 보냈습니다. 2016년과 2017년에는 독일 뮌헨의 레이첼 카슨 센터에서 펠로우로 활동했습니다. 2018년에는 오스트리아 비엔나 대학에서 방문교수로 로봇과 사회에 관한 대학원 수업을 열었습니다. 2023년에는 일본 도쿄대학 미래비전연구센터의 방문연구원으로 활동 중입니다.
  • 전치형은 주로 사회문화적 맥락 안에 위치한 인간과 기술의 관계, 그리고 다양한 인간-기술-사회 체제 하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관해 연구하고 있습니다. 그는 특히 인간이 기계에 대해 가지는 통제, 자율성, 친밀함, 불안, 외로움과 같은 감정에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통상적이지 않은(인공적인, 증강된, 유사의, 대안적인) 인간 형태에 관심이 있는 연구자들의 모임인 ‘인조인간연구회’(a.human)를 조직했습니다. 2017년에는 과학-기술-사회에 관한 다양한 관점의 글을 싣는 계간 잡지 <에피>를 창간했습니다. 2016년부터는 <한겨레>에 과학과 사회를 다루는 칼럼을 기고하고 있습니다. 통상적인 연구 외에도 세월호 참사 진상 규명을 위한 특별조사위원회의 공식 보고서(2018, 2022) 출간에 참여하였습니다. 또한 세월호 참사와 관련된 사진과 자료를 담은 <세월호교실> 웹사이트를 제작하였습니다.
  • 관여하고 있는 학술 단체로는 국제과학기술학회(Society for Social Studies of Science, 2020년부터 집행위원으로 활동), 국제기술사학회(Society for the History of Technology), 한국과학기술학회, 한국과학사학회 등이 있습니다. 2021년부터는 국제 학술지 East Asian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의 부편집인과 SHOT의 공식 학술지인 Technology and Culture의 객원 에디터를 겸하고 있습니다. 2019년과 2020년에는 한국과학기술학회에서 발행하는 <과학기술학연구>의 편집위원장을 지냈습니다.
안창욱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 크리에이티브마인드 대표
  • AI 작곡가 '이봄’
  • AI 작곡 보조 서비스 ‘뮤지아 플러그인(MUSIA Plugin)’ 개발
  • 안창욱 교수는 2005년 광주과학기술원 정보통신공학과에서 진화기계지능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이 후, 삼성종합기술원(2005~2007)과 성균관대학교 조/부교수(2008~2017)를 거쳐, 현재까지 광주과학기술원 AI대학원 교수로 재직중이다. 동시에 2017년부터 AI음악 전문 스타트업 ㈜크리에이티브마인드의 대표이사로 재직중이다.
  • 안창욱 교수는 ‘알파고(AlphaGo)’ 이벤트로 세상이 떠들썩했던 2016년도에 우리나라 최초의 AI작곡가 ‘이봄(EvoM)’을 탄생시켜 지금까지 EDM에서 K-pop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에 걸쳐 디지털 싱글을 발매했다. 또한 홍진영, 이소정, 에일리 등 유명가수와의 협업 음원도 꾸준히 발표했으며, 특히 에일리와의 협업 곡인 ‘I Feel So Alone’은 AI음원 최초로 멜론 기준 최신4주 차트 10위권에 오르는 기록을 세웠다. 한편, 2018년도에는 현존 최고의 난이도를 갖는 문제로 간주되는 ‘스타크래프트-II’에 대해 국내 최초로 게임AI를 개발하여 5개 대륙 참가 국제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 안창욱 교수는 최근 단순 딥러닝 중심의 초거대 AI연구를 벗어나, 인간의 전문 지식과 경험 데이터 간 합성에 기반한 인간지능 원리 및 동작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우리 인간 만이 갖는 능력인 음악 작곡과 같은 창의 지능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를 통해 누구나 나만의 작곡가를 통해 음악 콘텐츠를 언제, 어디서나 쉽고 빠르게 만들어 듣고 즐길 수 있는 세상을 실현하고자 한다.
드루 헤먼트
에든버러대 미래 연구소 페스티벌 디렉터, 교수
  • 예술가이자 데이터 아트, 오픈 데이터, 인간중심 스마트도시 등 분야 연구 진행
  • The Royal Society of Arts 펠로우 (2009)
  • FutureEverything 설립자
    * 스코틀랜드 에든버러대학교 내 연구소로 예술, 인문학 및 사회 과학을 데이터 과학·엔지니어링·자연 과학·의학과 결합하는 다양한 연구 진행. 인공 지능의 윤리적 의미와 사회·경제·환경·문화적 포용에 대한 활발한 논의와 담론 생성
박재연
아주대학교 문화컨텐츠학과 교수
  • 아주대학교 도구박물관 운영위원 (2023)
  • [2017~2020] 숙명여자대학교 환경디자인 센터 연구원
  • <돌봄과 작업> (2022), 파리박물관기행 (2022), <라키비움> (2021) 등 저자
  • 박재연은 서울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파리 1대학 미술사학과 학사, 석사 과정을 거쳐 고등사회과학원(EHESS)에서 문화인류학으로 석사 학위를 취득 후 2017년 식민주의 미술 제도를 주제로 파리 1대학 미술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술의 유통과 수용, 미술 제도와 정책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2020년부터 아주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다양한 자리와 매체를 통해 예술의 의미와 효용에 대해 쓰고 말한다.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운영위원, 문화체육관광부 공립박물관미술관 사전평가 심의위원 등 동시대 미술 현장과 제도를 다양하게 경험 중 이다. 최근 연구로는 <미술관 온라인 콘텐츠의 교육적 효용 연구>, <유럽 식민지 경험과 동시대 아프리카 디지털 콜라주>, <「프랑스 박물관 법」 법제 연구>,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 전쟁 서사 전시, 몰입에서 담론으로>,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한 인상주의 전시 연구>, <가상의 박물관/상상 박물관 : UMA의 사례> 등이 있다.
임채원
경희대학교 미래문명원 특임교수
  • 대통령 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 미래세대특별위원장
  • <국가비전 2050> (2020) 등 저자